현대사회에선 TV 시청이나 컴퓨터 게임, 스마트폰과 같이 기술의 발전으로 신체활동을 통해 칼로리를 소비하지 않아도 즐거움을 충족시켜 주는 요소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런 현상은 운동부족과 직결되고 서구화된 식습관은 고칼로리 식습관을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칼로리 소비와 섭취의 엇박자가 발생하여 어린이의 건강을 위협하는 소아비만을 유발하게 됩니다.
1. 소아비만의 원인
소아비만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로 환경적인 요인은 아이가 부모의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따라 하며 점점 소아비만에 가까워지며 최근에는 배달앱의 활성화와 서구적인 식습관이 맞물려 아이들이 더욱더 고칼로리 인스턴트 음식에 노출되는 환경이 잦아져 소아비만을 유발하는 빈도가 더욱 많아졌습니다. 그와 더불어 사회가 발전하면서 아이들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노출되는 시기가 예전 어른 세대보다 훨씬 빨라져 야외에서 활동적인 놀이, 운동을 하는 것보다 실내에서 스마트폰, 게임등으로 친구와 만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났습니다. 이로 인해 아이들의 활동량은 줄어들고 칼로리 섭취는 늘어나 소아비만을 비롯한 다양한 소아질환으로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로는 유전적인 요인이 있습니다. 부모나 친인척에 비만이 있을 경우 자녀에게 비만이 나타날 확률은 약 80%에 해당하며 부모가 비만이 아닌 경우 자녀에게 비만이 나타날 확률은 약 7%로 비만은 유전과 관련이 깊습니다. 하지만 이는 유전자에 의한 비만의 발생 확률보다 결국에는 비만을 조성하는 부모의 전반적인 생활환경이 소아비만의 유무를 더 크게 좌우합니다. 비만은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전자 단독으로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며 환경요인이 충족될 때 발생하는 질병이기 때문입니다.
2. 소아비만의 위험성
소아비만은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같이 증가하여 성인이 되었을 때 체중을 줄여도 다시 살이 찌기 쉬운 몸 상태를 만듭니다. 비만이란 지방세포가 증가하거나 지방 세포의 크기가 커져서 체지방이 과다한 상태를 이야기하는데 성인의 경우 지방세포의 크기가 증가하는 비만 형태가 많습니다. 하지만 소아비만의 경우 지방세포의 수와 크기가 같이 증가하여 성인이 된 후체중을 줄이더라도 지방세포의 크기만 작아질 뿐 개수는 줄어들지 않습니다. 이는 쉽게 말하면 소아비만이었던 아이가 성인이 되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체중을 감소시킨다고 해도 다시 살이 찌기 쉽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지방이 많아지면 렙틴 호르몬이 증가하고 이는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합니다. 이로 인하여 성조숙증이 오게 되고 최종적으로 키가 작아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아비만의 80%는 성인비만으로 이어지는데 우울증, 당뇨병, 고지혈증 등 여러 가지 성인병의 위협에 노출될 수 있고 아이 일 때도 몸에 부정적인 신체 발달과 심리적 문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3. 소아비만 치료의 방향성과 목표
소아는 계속 성장을 하는 시기이므로 충분한 양질의 영양공급이 필요합니다. 잘못된 식습관과 식사량을 고치는 것이 중요한데 이 과정에서 반드시 가족 모두가 동참하여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아이는 아직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기에 미숙한 나이어서 가족 구성원의 도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소아비만에 필요한 식이요법으로는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 주며 탄수화물, 지방의 섭취를 줄입니다. 밥과 빵등 탄수화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음식들을 지양하고 비타민, 단백질, 무기질 등이 풍부한 과일, 채소, 등푸른 생선, 지방이 적은 고기등의 섭취를 늘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매일 1,5L 이상의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하여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아이들의 스트레스 관리도 중요하며 먹은 만큼 칼로리를 소모시켜 줄 수 있도록 매일매일 규칙적인 야외 활동이나 집에서 할 수 있는 스트레칭등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는 칼로리를 소모시켜 주는 동시에 성장호르몬을 촉진하여 성장판을 자극해 주고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마지막으로 밤에 숙면을 취하는 것은 성장 호르몬의 촉진을 도와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님들은 아이들이 밤 10시 이전에 숙면에 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